본문 바로가기
세상공부/세상엿보기(투자관점)

경상수지 란 ? (경제용어 시리즈 2)

by 무사도 2021. 7. 17.
728x90

안녕하세요 무사도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가산금리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그 다음용어로 "경상수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경상 수지의 정의
- 재화와 서비스(상품)를 주고받는 거래를 경상 거래라고 부르며
이 거래로 인해 발생한 금액을 말합니다.
이 거래가 국가간 거래에서 발생되었을 때
이 경상수지 흑자, 적자를 체크 하게 됩니다.

어렵네요
쉽게 말하면 "돈과 상품(서비스) 등을 거래해서 일어나는 일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수익이 발생했으면 경상수지 흑자
손실이 발생했을경우 경상수지 적자라고 간단하게 표현되겠습니다.

경상수지 안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수지들이 있습니다.
1. 상품수지
- 중요한 요소이며 상품(물리적 형태가 있음)과 재화(돈)의 교환
2. 서비스 수지
- 서비스(항공료, 보험료)와 재화의 교환
3. 본원소득 수지
- 외국에서 받은 각종 이자나 배당, 해외에 준 이자나 배당이의 밸런스
4. 이전소득 수지
- 특별히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원조를 받은 것의 균형입니다.


경상 수지가 흑자라고 한다면
우리나라의 상품 및 서비스가 국제 무역에서 좋은 상황이라는 말입니다.
간단히 생각하면 수출이 잘되었다 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비용 대비 수익이 늘어나는 상태가 되고,
미래를 위한 투자나 직원들을 위한 성과급을 줄 수도 있는 상태가 되며
국내 경기가 상승할 수 있고 경기 호황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경상수지가 적자라고 한다면 수입이 더 많은 상태가 됩니다.
그렇다면 투자비용 대비 수익이 줄어드는 상태이거나 좋지 않은 경우 -가
될 수도 있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국내(내수) 경기가 안 좋아지고
경기가 침체되는 불황 (디플레이션)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국내 상황이나 경제신문에서 "경상수지"를 체크하여 현재 경기 상황이나
국제 상황을 좀 더 볼 수 있다면 세상이 돌아가는걸 더 볼수 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도움이 되셨다면 " 공감 " 버튼을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