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무사도 입니다.
요즘 주식 투자 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동학개미, 서학개미등 해외주식과 국내주식으로 나뉘기도 하구요
일단 오늘 주식투자의 한 방법인 ETF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1. ETF 란?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입니다. 상장 지수 펀드 라고하는데요 국내거래소종목 분류인 KOSPI 및 KOSDAQ와 같은 특정 지수나 금, 채권 같은 특정 자산가격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하고 이를 주식처럼 매매 가능하도록 한 펀드를 말합니다. 간단하게는 지수의 가치가 주식에 매겨져 있고 지수가 높으면 가격이 오르고, 지수가 떨어지면 가격이 내려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2. ETF의 종류
우리나라에서도 여러가지 ETF 들이 있는데 이름을 보고 추측이 가능합니다.
각 자산 운용사 마다 접두어 와 접미어를 가지고 이름을 만들었습니다. 접두어와 접미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접두어 | 운용사 |
KODEX | 삼성자산운용 |
TIGER | 미래에셋자산운용 |
KBSTAR | KB자산운용 |
ARIRANG | 한화자산운용 |
KINDEX | 한국투자신탁자산운용 |
KOSEF | 키움투자신탁자산운용 |
접미어 | 정보 |
200 | 코스피 200의 지수와 연동 |
200 대형 | 코스피 200중 시총이 큰 100종목 |
인버스 | 코스피 200 선물지수 변동률의 -1배 |
레버리지 | 코스피 200 선물지수 변동률의 2배 |
코스닥 150 | 코스닥 대표업종 150 |
위와 같습니다. kodex200 이란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코스피 200 지수와 연동된 종목 이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물론 지수와 완벽하게 같지 않습니다. 지수는 전체 종목에 대해서 반영 되는 것이고 , ETF 종목들은 구성된 주식종목에 대해서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수많은 ETF 들이 있어서 다 나열할수는 없지만 대표적인 내용들을 정리 해 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ETF 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3. ETF의 장점
1. 자동으로 포트폴리오 구성이 가능합니다.
- 지난시간에 보았듯 섹터 혹은 지수 등으로 분류를 해서 ETF를 구성해 놨기 때문에 따로 일반 투자자가 섹터를 분석하여 구성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그 섹터에 대해서 포트폴리오가 구성이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2. 소액으로 분산투자가 됩니다.
- 앞에 1번에 말씀드린것처럼 포트 폴리오 구성 하는것처럼, 여러 종목에 소액으로 분산투자를 하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 1주만 소유를 한다 해도 , 해당 지수 펀드에 구성되어 있는 모든 종목에 투자 하는것으로 효과가 발생합니다.
3. 펀드의 투명성이 높습니다.
- 일반 펀드의 경우 해당 어떤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수 없습니다.
- ETF의 경우 HTS 나 MTS 에서 펀드에 구성된 종목을 확인 가능합니다.
4. 기존 펀드와 달리 수수료가 적습니다.
- 증권사 트레이더가 매매를 대행하지 않기 때문에 인건비에 해당하는 수수료가 기존 펀드에 비해 들어가지 않습니다. 따라서 매매 비용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4. ETF 의 단점
1. 거래량이 적다.
- 큰 ETF의 경우(Kodex 200, Kodex 200 레버리지, kodex 인버스 등) 의 경우는 거래량이 충분한 편 이지만 그외에 다른 ETF 들은 아직까지는 거래량이 좀 부족합니다.
2. 증권 거래세가 부가 될수 있다. (국내 ETF는 없다)
- 해외나 국내 모든 주식은 증권 거래새 0.25% 를 내야 하지만 현재 국내 ETF는 면제 입니다.
- ETF 가 해외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종류가 좀 다릅니다.
3. ETF를 구성한 주식의 지수와 ETF가 100% 일치 하지 않는다.
- 지수 펀드 이긴 하지만 100% 동조되어 오르거나 내리지 않습니다. 주의가 필요합니다.
4. 기간대비 커다란 수익률을 기대 할수 없다.
- 지수는 장기적으로 봤을때 우 상향 하는것이 기본이지만, 국가적, 경제적 상황등에 대해서 상황이 변동하기 때문에 반드시 기간에 비례 해서 우상향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큰 수익을 기대 하기 보다는 은행 금리 이상의 수익을 기대 하고 "잃지 않는 투자" 를 하는 것에 대해서 의의를 두는것이 적당합니다.
ETF의 단점중 가장 크게 보이는 단점들을 나열해 보았습니다.
다음에는 ETF 를 투자 할 경우 세금이 어떻게 진행 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을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세상공부 > 세상엿보기(투자관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시 이슈 - 6월 28 ~ 7월3일 (2) | 2021.06.28 |
---|---|
부동산 투자 - 1주택자 청약에 관한 정리 (2) | 2021.06.26 |
탄소 중립을 위한 지속 가능한 실천 1 (0) | 2021.06.17 |
신 재생 에너지 란? (0) | 2021.05.31 |
탄소 배출권 이란? (0) | 2021.05.30 |
댓글